이전에 요인(Factor)와 수준(Level)에 대해 포스팅 했습니다. 이번 포스팅을 이해하기 위해선 요인과 수준에 대한 개념이 필요합니다. 다음 포스팅으로 가서 개념을 잡고 이번 포스팅을 보신다면 더욱 이해가 잘 되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실험계획법] 요인(Factor)과 수준(Level)
요인(Factor) 요인이란 실험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중 우리가 선택한 변수를 의미합니다. 예를들어 여러분이 휴대폰 배터리의 지속시간에 대한 실험을 한다고 생각해봅시다. 휴대폰 배터
engineering-cluster.tistory.com
요인은 크게 기술적인 의미의 유무에 따라 모수요인(Fixed Factor)과 변량요인(Random Factor)으로 구분됩니다. 기술적인 의미.. 잘 와닿지 않죠? 모수요인과 변량요인을 자세히 살펴보다보면 기술적인 의미라는 것이 무엇인지 감을 잡으실 수 있을 겁니다! 천천히 따라오세요.
모수요인이란 Fixed Factor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미리 정해진 수준이 사용되며 각 수준이 기술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는 요인을 뜻합니다. 기술적인 의미를 가진다는 것은 실험자가 수준을 제어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다시말해 모수 요인이란 실험자가 정해놓은 수준들로 구성되는 요인을 뜻합니다. 온도, 압력 등이 모수요인에 속합니다.
모수요인은 다시 채택된 이유에 따라 3가지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제어요인은 모수요인 중 실험의 해석을 위해 채택된 요인으로 수준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는 요인을 의미합니다. 실험을 할 때 몇 개의 수준을 설정하고 그 중 최적의 수준을 선택하여 실험을 해석하게 됩니다.
표시요인은 다른 제어 요인의 수준을 조절하기 위해 채택되는 요인이거나 제어 요인이지만 최적의 수준을 선태하는 것이 무의미한 요인을 의미합니다.
변량요인은 Ramdom Factor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수준의 선택이 랜덤으로 이루어지는 요인을 말합니다. 모수요인과 달리 변량요인의 각 수준은 기술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실험자가 수준을 제어할 수 없다는 특징을 갖습니다.
모수요인과 마찬가지로 변량요인 또한 다시 채택된 이유에 따라 3가지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블록요인이란 실험의 정도를 올리기 위해 채택한 요인을 의미합니다. 블록요인 자체의 효과나 다른 요인과의 효과를 처리할 수 없지만 실험값에 영향을 줍니다.
보조요인은 실험에는 포함되지 않으나 측정을 해두었다가 이후에 결과 분석에 이용하려고 하는 요인을 의미합니다.
잡음요인은 신호요인과 같이 'Taguchi' 실험계획법에서 주로 사용되는 변량요인이며 외부잡음, 내부잡음, 제품 간 잡음 요인으로 나누어집니다.
구조모형이란 실험을 구조화 할 때 사용하는 모형을 말합니다. 이제 이 요인의 유형에 따라 실험계획법에 사용되는 모형을 구분할 수가 있습니다.
모수요인으로만 구성된 구조모형을 말합니다.
변수요인으로만 구성된 구조모형을 말합니다.
모수모형과 변수모형이 혼합된 형태의 구조모형을 말합니다.
[실험계획법] 실험계획법의 분류 (0) | 2021.02.09 |
---|---|
[실험계획법] 실험계획의 기본 원리 (0) | 2021.01.30 |
[실험계획법] 실험계획법(Design Of Experiment)의 개요 (0) | 2020.12.28 |
[실험계획법] 요인(Factor)과 수준(Level) (0) | 2020.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