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Cluster

안녕하세요. 신뢰성관리 첫 게시글이네요!

신뢰성관리를 위해선 신뢰성(Reliability)이 무엇인지부터 알아야겠죠?

 

신뢰성

신뢰성(Reliability)이란 무엇일까요?

품질관리에서 신뢰성이라고하면 정확성(Accuracy)와 많이들 헷갈리시는데요. 그것과 조금 다른 개념입니다.

품질관리에서 말하는 신뢰성은 영어로 Reliability인데요. Rely와 ability로 구성되는 단어입니다. 무슨 뜻일까요?

네, 믿을 수 있는 능력이에요. 우리가 제품을 믿고 사서 쓸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합니다.

 

여러분들은 제품을 사실 때 어떤 것들을 주로 생각하시나요? 어떤 점을 보고 믿고 쓸 수 있겠다라고 생각하시나요?

저는 가격대가 높은 전자제품 같은 걸 살 때면 이거 사서 얼마나 쓸 수 있을까? 라는 생각을 가지고 어느정도 가격이 적당한지 생각해보는데요. 

여기서 "얼마나 쓸 수 있을까?" 이것이 바로 신뢰성입니다.

 

쉽게 말해서 "수명"을 의미합니다.

특정 조건에서 특정 기간동안 정해진 기능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능력.

어렵게 풀어썼지만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제품의 수명과 같은 개념이라는 거... 아시겠죠?

 

즉, 신뢰성 관리란 제품이 고장나지 않고 오래 사용할 수 있도록 제품을 관리하는 것을 말합니다.

신뢰성의 필요성

그렇다면 신뢰성을 관리하는 것은 왜 필요할까요?

스마트폰을 예시로 생각해 봅시다. 스마트폰 다들 많이 쓰시죠?

아마 이 글도 스마트폰으로 보고 계신 분들이 있을 것 같네요.

스마트폰의 발전과정을 생각해보면 빠르게 스펙이 높아지고 있죠. 불과 몇년전에 이 글을 보시는 대부분이 폴더폰을 사용하고 있었다는 것이 믿기지 않을 정도로요. 

스마트폰의 사양이 높아지면서 내부의 구조는 이전의 폴더폰에 비해 말도 안되게 복잡해졌습니다. 구조가 복잡해지면 자연스럽게 제품에 들어가는 장치 또한 많아지겠죠? 그러면 어떤 문제가 발생할까요?

 

네, 고장을 일으킬 수 있는 요인이 점점 증가하죠. 즉, 고장이 나기 더 쉽습니다.

제품의 품질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이죠. 

그래서 기술이 발전할수록 신뢰성 관리의 중요성 또한 점점 커지고 있어요.  

 

 

다음 시간에는 신뢰성 수명분포와 신뢰도 함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