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품질 변동의 원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일정한 조건에서 똑같은 작업을 반복 수행하더라도 작업의 결과물은 달라지게 됩니다.
마치 우리가 종이접기를 할 때, 같은 것을 여러 개 접게되면 모양은 비슷하지만 약간씩 차이가 생기게 되는 것처럼요.
이러한 관정메서 볼 때, 생산공정에서 제품의 품질 변화는 피할 수 없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품질 변동이 일어나는 원인이 무엇일까요? 생각해봅시다.
먼저, 작업 방법이 변하였다거나, 제품 원료가 불량이라던가 하는 등 생산 공정이 제대로 관리되지 않아 생산 능력 자체가 변하는 것이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것을 이상원인이라고 합니다.
이것이 아니라면 작업자의 숙련도 차이, 식별되지 않을 정도의 미세한 원자재 특성의 차이 등으로 인해 생산조건이 엄격하게 관리된다 하더라도 발생할 수 있는 원인이 있을 것 입니다. 이것을 우연원인이라고 합니다.
특히 미세한 제품을 만드는 반도체 공정에서, 식별할 수 없는 미세한 원자재 품질은 제품의 질에 어마어마한 영향을 미칠 수 있겠죠.
그렇다면 작업자의 숙련도 차이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식별되지 않는데 원자재 특성이 다른 것을 어떻게 알 수 있죠?
이럴 때 필요한 것이 바로 통계입니다.
즉, 이상원인과 우연원인을 구분하는 방법은 판단하는 사람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누가 판단하더라도 명확하게 판단해 낼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며 그것이 바로 통계라는 것입니다.
생산공정에 우연원인만이 작용하고 있다면, 품질의 변동을 나타내는 특성값들은 어떤 특별한 패턴을 갖지 않고 랜덤하게 분포할 것 입니다. 즉, 틍계적 법칙을 따르게 됩니다.
하지만, 이상원인이 존재한다면 품질의 변동을 나타내는 특정값들이 어떤 특별한 패턴을 보이며 존재하게 됩니다.
이를 이용해 생산공정에서 발생하는 품질 변동 원인이 이상원인인지 우연원인인지 정확하게 판단해 낼 수 있습니다.
판별을 하고 난 후에, 우연 원인만이 생산공정에 존재한다면 그 생산공정을 관리상태라고 합니다.
반복적인 생산 공정에서의 변동을 예측할 수 있어 관리가 가능해지기 때문입니다.
반면 이상 원인를 갖는 생산 공정을 이상상태라고 합니다.
다음시간에는 관리도의 3σ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관리도] 관리도의 3σ법 (0) | 2021.01.04 |
---|